이론 공부

GET / POST 방식

Yuco 2023. 3. 12. 21:26

1. URL 형식

- 프로토콜:IP:포트번호

 

2. GET / POST 방식

- HTTP 프로토콜을 통해서 서버에 어떤 값을 전달할 때 사용하는 방식의 종류

 

1) GET

- URL 뒤에 값이 붙어서 요청 보냄(보안에 취약함, 파라미터 값이 url 뒤에 붙음), 데이터는 key, value 값으로 보내고, 구분자는 & 

 

2) POST

- 값을 Request Body 안에 담아 보냄(보안이 중요한 경우에 사용, 파라미터가 노출되지 않음)

 

3) GET / POST 방식 비교 

- POST 방식보다 GET 방식이 빠른데 GET 방식의 요청은 캐싱(한 번 접근 후, 또 요청할 시 빠르게 접근하기 위해 데이터를 저장시켜 놓는다) 때문에 빠른 것

- get 방식은 캐시가 남아있고, 브라우저의 히스토리에 파라미터 정보가 저장되어서 좋지 않을 수 있지만, POST 방식은 캐시가 남아있지 않고, 히스토리에 정보가 남지 않음 (하지만 캐시 덕분에 속도적인 측면에서는 GET POST 방식보다 좋음)

- GET 방식은 '조회' 이용 시 많이 사용되고, POST 방식은 '입력(생성), '수정', '삭제' 시 많이 사용됨 (데이터의 변경을 가져오는 경우 POST 방식을 쓴다고 생각하면 됨, 변경을 가져오지 않는 경우 GET 방식 사용)

- POST 방식은 바이너리 데이터도 전달이 가능하기 때문에, 파일 업로드 등을 처리하기 위해서 POST 방식을 사용

 

 

 

 

 

 

'이론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키텍처(Architecture)  (0) 2023.03.20
개발 방법론  (0) 2023.03.14
인터페이스(Interface)  (1) 2023.03.12
oauth, JWT  (0) 2023.03.11
스프링 프레임워크  (0) 2023.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