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정보처리기사 필기 42

[정보처리기사 필기] DB 구축 : DB 설계

정보처리기사 필기 3과목 - 데이터베이스 구축 : 데이터베이스 설계 [1] 데이터베이스 설계시 고려사항 1. 무결성 2. 일관성 3. 회복성 4. 보안성 5. 효율성 6. 데이터베이스 확장성 [2] 데이터베이스 설계 순서 요구사항 수집 및 분석 ▶ 개념적 모델링 ▶ 논리적 모델링 ▶ 물리적 모델링 ▶ 데이터베이스 구현 1. 요구사항 수집 및 분석 - 요구 조건 명세서 작성 - 현실 세계의 대상 및 사용자의 요구 등을 정리 및 분석 - 사용자 식별 / 데이터베이스 용도 식별 / 사용자 요구사항 수집 및 명세 2. 개념적 모델링 (정보 모델링, 개념화) - 요구사항을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업무의 핵심적인 개념을 구분하고 전체적인 뼈대를 만드는 과정 - 독립적인 개념 스키마 모델링, 트랜잭션 모델링 ..

[정보처리기사 필기] DB 구축 : 데이터 모델의 구성 요소

정보처리기사 필기 3과목 - 데이터베이스 구축 : 데이터 모델의 구성 요소 [1] 개체 (Entity) 1. 개체의 정의 및 특징 - 실세계에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유형, 무형의 정보로 서로 연관된 몇 개의 속성으로 구성 - 데이터베이스에 표현하려는 것으로 사람이 생각하는 개념이나 정보 단위 같은 현실 세계의 대상체 - 독립적으로 존재하거나 그 자체로서도 구별 가능 - 유일한 식별자(Unique Identifier)에 의해 식별 가능 - 개체 타입에는 반드시 속성들이 포함되어 있어야 함 - 다른 개체와 하나 이상의 관계(Relationship)가 있음 - 파일 시스템의 레코드에 대응하는 것으로 어떤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 2. 개체 선정 방법 - 실제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담당자와 인터뷰 함 - 실..

[정보처리기사] DB 구축 : 데이터 모델

정보처리기사 3과목 - 데이터베이스 구축 : 데이터 모델 [1] 데이터 모델 - 데이터 모델링은 현실 세계의 복잡한 개념을 단순화하고 추상화시켜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과정 1. 데이터 모델의 구성 요소 1) 개체(Entity) - 데이터베이스에 표현하려는 것으로 사람이 생각하는 개념이나 정보 단위 같은 현실 세계의 대상체 - 실세계에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유형, 무형의 정보로서 서로 연관된 몇 개의 속성으로 구성됨 - 독립적으로 존재하거나 그 자체로서도 구별 가 2) 속성(Attribute) - 데이터의 가장 작은 논리적 단위로서 파일 구조상의 데이터 항목 또는 데이터 필드에 해당 - 업무에 필요한 개체(Entity)에서 관리하고자 하는, 더 이상 분리되지 않는 최소의 데이터 단위 (개체를 구성하는 항목) 3..

[정보처리기사 필기] DB 구축 : 개체-관계 모델 (E-R 모델)

정보처리기사 필기 3과목 - 데이터베이스 구축 : 개체-관계 모델(E-R 모델) [1] 개체 - 관계 모델 (E-R, Entity-Relationship) ⭐⭐ 1. 개체 - 관계 모델의 정의 - 개념적 데이터 모델의 대표적인 예 (1976년 피터 첸에 의해 제안됨) - E-R 모델은 세상의 사물을 개체(Entity)와 개체간의 관계로 표현 - 개체는 독립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는 유형, 무형의 사람 또는 사물, 개체의 특성을 나타내는 속성(Attribute)에 의해 식별되며, 개체끼리 서로 관계를 가짐 (= 데이터를 개체, 속성, 관계로 묘사) - 개체 타입과 개체 간의 관계를 이용해 현실 세계를 개념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 특정 DBMS를 고려한 게 아니기 때문에 관계 표현에 제한이 없음 (E-R 다이..

[정보처리기사 필기] DB 구축 :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정보처리기사 필기 3과목 - 데이터베이스 구축 : 논리적 모델링 정의 **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 ⭐⭐⭐ (p.452-463) [1] 논리 데이터 모델링 정의 - 데이터 논리 모델링이란 데이터베이스 설계 프로세스의 기초 설계 단계로, 비즈니스 정보의 구조와 규칙을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기법 - E-R 다이어그램으로 표현된 개념적 구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형태로 표현한 논리적 구조이며, 물리적인 스키마(Schema) 설계를 하기 전 단계의 데이터 모델 상태를 일컫는 말 * 개념적 모델링과 논리적 모델링의 비교 개념적 모델링 논리적 모델링 Entity Table Attribute Column UID Primary Key Relationship Foreign Key Mandatory Not Null..

[정보처리기사 필기] DB 구축 : 식별자(Identifier)

정보처리기사 필기 3과목 - 데이터베이스 구축 : 식별자 [*] 식별자 - 하나의 개체 내에서 각각의 인스턴스를 유일(Unique)하게 구분할 수 있는 구분자 - 모든 개체는 한 개 이상의 식별자를 반드시 가져야 함 분류 식별자 설명 대표성 여부 주 식별자 (Primary Identifier) - 개체를 대표하는 유일한 식별자 - 하나의 개체에 한 개만 존재 보조 식별자 (Alternative Identifier) - 주 식별자를 대신해 개체를 식별할 수 있는 속성 - 하나의 개체에 한 개 이상이 존재 스스로 생성 여부 내부 식별자 (Internal Identifier) - 개체 내에서 스스로 만들어지는 식별자 외부 식별자 (Foreign Identifier) - 다른 개체와의 관계(Relationshi..

[정보처리기사 필기] SW 개발 :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정보처리기사 필기 2과목 - 소프트웨어 개발 :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1] 인터페이스 구현 / 감시 1.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 구현된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검증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구현 및 감시 도구를 통해서 동작 상태를 검증 및 감시할 수 있음 1)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도구 ⭐ - 인터페이스 구현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인터페이스 단위 기능 및 시나리오에 기반한 통합 테스트가 필요 - 테스트 자동화 도구를 이용하여 단위 및 통합 테스트의 효율성 높일 수 있음 도구 설명 xUnit Java(Junit), C++(Cppunit), .Net(Nunit) 등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는 단위 테스트 프레임 워크 STAF ⭐ 서비스 호출, 컴포넌트 재사용 등 다양한 환경을 지원하는 테스트 프레임워크 FitNesse..

[정보처리기사 필기] SW 개발 : 인터페이스 구현

정보처리기사 필기 2과목 - 소프트웨어 개발 : 인터페이스 구현 [1] 인터페이스 구현 - 여러가지 방법으로 인터페이스는 구현될 수 있지만,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과 인터페이스 테이블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으로 나눌 수 있음 1. 데이터 통신을 통한 인터페이스 구현 ⭐⭐ - 애플리케이션 영역에서 인터페이스 형식에 맞춘 데이터 포맷을 인터페이스 대상으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측에서 파싱(Parsing)하여 해석하는 방식 * 파싱? 원시 부호를 기계어로 번역하는 과정의 한 단계 - JSON 및 XML 형식의 데이터 포맷을 사용하여 인터페이스를 구현 1) JSON (JavaScript Object Notation) - 속성-값 쌍(Attribute-Value Pair..

[정보처리기사 필기] SW 개발 : 인터페이스 설계

정보처리기사 필기 2과목 - 소프트웨어 개발 : 인터페이스 설계 [1] 인터페이스 설계서 - 서로 다른 기종 시스템 또는 컴포넌트 간 데이터 교환 및 처리를 위한 목적으로 각 시스템의 교환 데이터 및 업무, 송수신 주체 등이 정의되어 있음 [2] 내부, 외부 모듈 간 공통 기능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확인 순서 1. 인터페이스 설계서의 외부 및 내부 모듈의 기능을 확인 - 인터페이스와 통신하는 외부 및 내부 모듈의 기능을 인터페이스 설계서를 통하여 확인하여 향후 인터페이스 개발에 필요한 공통 영역 도출 가능 2. 인터페이스 설계서의 외부 및 내부 모듈을 기반으로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기능과 각 데이터의 인터페이스를 확인 - 식별된 외부 및 내부 모듈의 기능을 분석하여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기능을 확인하고 이를..

[정보처리기사 필기] SW 개발 : 애플리케이션 성능

정보처리기사 필기 2과목 - 소프트웨어 개발 : 애플리케이션 성능 [1] 애플리케이션 성능 분석 - 애플리케이션 성능 : 사용자의 요구 기능을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최소의 자원을 사용하면서 얼마나 빨리, 많은 기능을 수행하는가를 육안 또는 도구를 통하여 점검하는 것 1. 애플리케이션 성능 측정 지표 ⭐⭐ 처리량 (Throughput) - 애플리케이션이 주어진 시간에 처리할 수 있는 트랜잭션의 수 (= 일정 시간 내 애플리케이션이 처리하는 일의 양) - 웹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시간당 페이지 수로 표현하기도 함 응답 시간 (Response Time) - 사용자 입력이 끝난 후 애플리케이션의 응답 출력이 개시될 때까지의 시간 (= 애플리케이션에 요청을 전달한 시간부터 응답이 도착할 때까지 걸린 시간) - 웹 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