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 35

[정보처리기사 필기] SW 개발 : 제품 소프트웨어 버전 관리

정보처리기사 필기 2과목 - 소프트웨어 개발 : 버전 관리 도구 P.289 [1] 소프트웨어 버전 관리 도구 1. 제품 소프트웨어 버전 등록 - 제품 소프트웨어 버전 관리는 소프트웨어 개발과 관련하여 코드와 라이브러리, 관련 문서 등 시간에 변화에 따른 변경을 관리하는 전체 활동 1) 제품 소프트웨어 패키징의 형상 관리 - 제품 소프트웨어에서 형상 관리 목적은 기본적으로 작성된 패키지의 변경 내용을 관리하기 위함 - 소프트웨어의 변화를 시간에 따라 기록하고 특정 시점의 버전을 다시 꺼내 올 수 있도록 관리하는 체계를 의미 1-1) 제품 소프트웨어의 형상 관리 중요성 - 제품 소프트웨어는 지속적으로 변경되는데, 이에 대한 개발 통제가 중요 - 제품 소프트웨어의 형상 관리가 잘되지 않으면 배포판의 버그 및 ..

[정보처리기사 필기] SW 개발 : 통합 구현 관리(IDE, 협업, 형상관리)

정보처리기사 필기 2과목 - 소프트웨어 개발 : 통합 구현 관리 [1] IDE 도구 1. 통합 개발 환경 (IDE,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 통합 개발 환경은 개발자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모든 작업(코드 편집기, 디버거, 컴파일러, 인터프리터 등)을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통합하여 제공하는 것을 의미 1) 디버거(Debugger) - 에러를 포함하고 있는 프로그램에서 그 에러를 알아내기 위하여 이용되는 프로그램 2) 컴파일러(Compiler) - 고급 언어로 쓰인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수행되기 위해 컴퓨터가 직접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바꾸어 주는 프로그램 3) 인터프리터(Interpreter) - 프로그램을 해석하는 방법의 하나로, 사람이 이해할..

[정보처리기사 필기] SW 개발 : 디지털 권리 관리(DRM)

정보처리기사 필기 2과목 - 소프트웨어 개발 : 디지털 권리 관리(DRM : Digital Rights Management) [1] 디지털 권리 관리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 디지털 콘텐츠의 전 과정에 걸쳐 사용되는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및 보호 기술 - 출판자 또는 저작권자가 그들이 배포한 디지털 자료나 하드웨어의 사용을 제어하고 이를 의도한 용도로만 사용하도록 제한하는 데 사용되는 모든 기술들을 지칭하는 언어 [2] DRM의 흐름 ⭐ - 콘텐츠 제공자, 분배자, 소비자 간의 패키징 배포 및 관리를 중앙의 클리어링 하우스에서 관리 1. 콘텐츠 제공자 (Contents Provider) - 콘텐츠를 제공하는 저작권자 패키저 (Packager) : 콘텐츠를 메타 데이터와..

[정보처리기사 필기] SW 개발 : 애플리케이션 배포 도구(릴리즈 노트)

정보처리기사 필기 2과목 - 소프트웨어 개발 : 애플리케이션 배포 도구(릴리즈 노트) [1] 제품 패키징 릴리즈 노트 1. 개요 - 개발 과정에서 정의된 릴리즈 정보를 소프트웨어의 고객과 공유하기 위한 문서 - 릴리즈 노트에는 테스트 결과와 정보가 포함됨 (사용자에게 알려야 할 정보가 기록됨) - 개선된 작업이 있을 때마다 관련 내용을 릴리즈 노트에 담아 제공 - 개발팀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사양에 대한 최종 승인을 얻은 후 문서화되어 제공 - 제품이 개발 또는 테스트 상태이거나, 제품 베타 버전등의 상태일 때, 업데이트가 해제될 때 뜽 다양한 케이스에서 작성 2. 초기 버전 릴리즈 노트 작성 항목 작성 항목 설명 Header (머리말) ⭐ 문서 이름(릴리즈 노트 이름), 제품 이름, 소프트웨어 이름,..

[정보처리기사 필기] SW 개발 : 애플리케이션 패키징

정보처리기사 필기 2과목 - 소프트웨어 개발 : 애플리케이션 패키징(제품 소프트웨어 패키징) [1] 제품 소프트웨어 패키징의 개요 1. 개요 - 개발이 완료된 제품 소프트웨어를 고객에게 전달하기 위한 형태로 패키징하고, 설치와 사용에 필요한 제반 절차 및 환경 등 전체 내용을 포함하는 메뉴얼을 작성하며, 제품 소프트웨어에 대한 패치 개발과 업그레이드를 위해 버전 관리를 수행하는 것 2. 사용자 관점의 패키징 고려사항 * 고객 편의성을 위해 사용자 환경을 확인하여 다음과 같이 여러 가지 케이스를 사전에 고려 - 운영체제, CPU, 메모리(사용자의 시스템 환경) 등에 필요한 최소 환경을 정의 -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UI를 제공하고, 매뉴얼과 일치시켜 패키징 작업 - 하드웨어와 통합 적용될 수..

[정보처리기사 필기] SW 개발 : 절차형 SQL

정보처리기사 필기 2과목 - 소프트웨어 개발 : 절차형 SQL P.222 [1] 개요 - C, JAVA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와 같이 연속적인 실행이나 분기, 반복 등의 제어가 가능한 SQL -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언어에 비해 효율이 떨어짐 - 연속적인 작업들을 처리하는 데 적합 - BEGIN ~ END 형식으로 작성되는 블록(Block) 구조로 기능별 모듈화 가능 1. 프로시저 (Procedure) - 호출을 통해 실행되어 미리 저장해 놓은 SQL 작업 수행 - 처리 결과는 한 개 이상의 값 반환 또는 반환을 아예 하지 않음 2. 트리거 (Trigger) - 입력, 갱신, 삭제 등의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관련 작업을 자동 수행 3. 사용자 정의 함수 - 프로시저와 유사하게 SQL을 사용해 일련의 작업을..

[정보처리기사 필기] SW 개발 : DB / DBMS

정보처리기사 필기 2과목 - 소프트웨어 개발 : 데이터베이스(DB)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1] 데이터베이스 (Database) ⭐ 1. 공용 데이터 (Shared Data) - 여러 응용 시스템들이 공동으로 소유하고 유지하는 자료 2. 통합된 데이터 (Integrated Data) - 자료의 중복을 최대한 배제한 데이터들의 모임 3. 운영 데이터 (Operational Data) - 고유한 업무를 수행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자료 4. 저장된 데이터 (Stored Data) - 컴퓨터가 접근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자료 [2]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 사이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정보를 생..

[정보처리기사 필기] SW 개발 : 정규화 / 반정규화

정보처리기사 필기 2과목 - 소프트웨어 개발 :정규화 / 반정규화 [1] 정규화 (Normalization) 1. 정의 - 데이터베이스를 잘못 설계하면 불필요한 데이터 중복이 발생하여 릴레이션에 대한 데이터의 삽입 / 수정 / 삭제 연산을 수행할 때 부작용 발생 가능 = 이상(Anomaly) 현상 발생 가능 - 이러한 이상 현상을 제거하면서 데이터베이스를 올바르게 설계해 나가는 과정 의미 [2] 반정규화 (Denormalization) 1. 정의 - 정규화에 충실하여 모델링을 수행하면 종속성. 활용성은 향상되나 수행 속도가 느려지는 경우 발생 - 이를 극복하기 위해 성능에 중점을 두어 정규화 하는 방법 2. 특징 - 데이터 모델링 규칙에 얽매이지 않고 수행 - 시스템이 물리적으로 구현되었을 때 성능 향상..

[정보처리기사 필기] SW 개발 : 데이터 모델링

정보처리기사 필기 2과목 - 소프트웨어 개발 : 논리 데이터 저장소 - 데이터 모델링 [1] 일반적인 시스템 개발 절차 전략 수립 (개념 모델링) ▶ 분석 (논리 데이터 모델링, 분석 모델링) ▶ 설계 (물리 데이터 모델링, 설계 모델링) ▶ 개발 (데이터베이스 구축, 애플리케이션 개발) 1. 개념 모델링을 통해 개발 범위 파악 2. 업무 중심의 분석(논리 데이터 모델링, 분석 모델링) 단계를 거쳐 개발하고자 하는 환경을 고려한 설계(물리 데이터 모델링, 설계 모델링) 단계로 구체화 됨 3. 개발(데이터베이스 구축, 애플리케이션 개발) 단계로 진행 [2] 데이터 모델링 * 3과목에서 구체적으로 다뤄질 예정 1. 정의 - 기업의 정보 구조를 실체(Entity)와 관계(Relation)를 중심으로 명확하고 ..

[정보처리기사 필기] SW 개발 : 자료구조

정보처리기사 필기 2과목 - 소프트웨어 개발 : 논리 데이터 저장소 확인 (자료구조) [1] 자료구조 (Data Structure) ⭐⭐ 1. 개념 및 정의 - 자료구조는 컴퓨터에서 처리할 자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구조화 시키기 위한 영역 - 즉, 자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자료의 특성에 따라 분류하여 구성하고 저장 및 처리하는 모든 작업을 의미 2. 자료구조의 범위와 종류 3. 데이터 사이 참조 관계에 따른 분류 ** 선형 구조 / 비선형 구조 구분 ** 1) 선형 구조 - 순차 리스트 또는 선형 리스트라고 함 - 데이터를 저장할 때 연속적인 기억 공간에 배정하는 자료구조, 빈 공간 없이 자료가 순서대로 저장됨 - 배열(Array), 큐, 스택, 데크, 연결 리스트(Linked List) 등 ..